코딩고치
[Git] Git hub remote repository 이용 본문
Git Hub
Git hub에 회원가입을 한 후 repository를 만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생성된다.
메인화면에 3개의 블록이 있는데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다. 이미 컴퓨터에 존재하는 레포지토리를 업로드하려면 2번째 블록을 보면 된다. 2개의 줄을 git에 입력을 해주면 git hub에 내 컴퓨터에 있는 레포지토리가 업로드된다.
새로고침을 하면 파일이 업로드된 것을 볼 수 있다.
최대 힙 구현 아래 2 commits로 들어가면 지금까지 commit 한 정보를 볼 수 있다.
로컬 레포지토리 ( 내 컴퓨터의 레포지토리)에서 파일을 추가하거나 수정 후 다시 commit을 한 다음 리모트 레포지토리 (git hub의 레포지토리)로 보내려면 git push를 해주면 된다.
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로컬 레포지토리로 commit
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파일을 수정한 후 로컬 레포지토리로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git pull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.
리모트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는 이유
1. 안전성
2. 협업 가능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커밋 (0) | 2020.05.05 |
---|---|
[Git] 커밋 히스토리 (0) | 2020.05.04 |
[Git] 다른 사람의 프로젝트 가져오기 (0) | 2020.05.04 |
[Git] git add (0) | 2020.04.28 |
[Git] repository & commit (0) | 2020.04.27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