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MiniHeap
- Git
- 배열
- 순차 탐색
- 그래프
- 문법
- 유닉스
- 백준
- UNIX
- type 함수
- NQueen
- 자료구조
- sys.stdin.readline()
- 스택
- 분할 정복
- git hub
- 자기개발
- 알고리즘
- 재귀 함수
- 기초
- 우분투
- 탐색
- 이진 탐색
- 그리디
- IT
- 트리
- 정렬
- 동적 계획
- 파이썬
- format 메서드
- Today
- Total
코딩고치
[Git] repository & commit 본문
Repository
버전별로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저장해 놓은 것을 레포지토리라고 한다.
디렉토리의 초창기 모습부터 최종 버전까지의 모습이 담겨있다. .git이라는 디렉토리가 레포지토리이다.
Commit
디렉토리를 하나의 버전으로 만드는 과정이나 결과물을 commit이라고 한다. 그 당시의 모습들이 레포지토리에 저장이 된다.
Repository 만들기
Git을 설치 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커맨드 창이 열린다.
레포지토리를 만들기 위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 명령어는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사용한다.
Git으로 버전 관리를 하기 위해서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. git으로 어떤 작업을 할 때마다 git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주어야 하며 그 뒤에 어떤 명령어가 오는지에 따라 작업이 달라진다.
Commit 실행
더하기와 빼기 기능이 있는 파이썬 파일과 라이선스 파일을 Calculator 디렉토리에 저장하였다.
def add(a, b):
return a + b
def subtract(a, b):
return a - b
이 상황을 commit을 하려고 한다. 이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누가 한 commit인지 꼭 기록을 해야 한다. 'git config' 명령어를 이용하여 기록을 한다. 이후 commit을 하면 사용자 기록도 같이 commit이 된다.
commit을 하기 위해서는 commit 할 파일을 미리 지정을 해주어야 한다. 이러한 과정을 add라고 한다.
'git commit'을 이용하여 commit을 하면 되는데 이때 무슨 이유로 어떻게 프로그래밍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도 적어 주어야 한다. 이러한 메시지를 적이 위해서는 -m이라는 옵션을 적어주어야 한다.
3번째 줄에 보면 root-commit이라는 글이 보인다. 이것은 가장 처음 버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. 그리고 commit 메시지와 아래에 commit 된 정보에 대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.
Git의 작업 영역
git의 작업은 총 3가지 단계를 거친다.
1. working directory
작업을 하는 디렉토리를 말하며 위 상황에서는 Calculator 디렉토리를 의미한다.
2. staging area
git add를 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단계이다. 위에서 calculator.py와 License파일을 git add를 이용하여 commit 할 파일을 지정해 주었다. 이때 이 2개의 파일이 staging area로 넘어오게 된다.
3. repository
레포지토리는 add 한 파일을 commit 하여 저장한 영역이다. 여기에는 지금까지의 변경 이력들이 저장되어있다. 어떤 파일을 수정하더라도 add를 하지 않으면 레포지토리에는 저장이 되지 않는다.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커밋 (0) | 2020.05.05 |
---|---|
[Git] 커밋 히스토리 (0) | 2020.05.04 |
[Git] 다른 사람의 프로젝트 가져오기 (0) | 2020.05.04 |
[Git] Git hub remote repository 이용 (0) | 2020.04.28 |
[Git] git add (0) | 2020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