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Tags
- NQueen
- IT
- 파이썬
- 배열
- 트리
- 순차 탐색
- type 함수
- 자기개발
- 분할 정복
- 그래프
- 알고리즘
- 자료구조
- sys.stdin.readline()
- 탐색
- 스택
- format 메서드
- git hub
- 유닉스
- 기초
- 재귀 함수
- 문법
- 동적 계획
- 정렬
- MiniHeap
- 우분투
- Git
- UNIX
- 그리디
- 이진 탐색
- 백준
Archives
- Today
- Total
코딩고치
[파이썬][자료구조] 해쉬 테이블(Hash Table) 본문
1. 해쉬 구조
- Hash Table: 키(key)에 데이터를(value)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
- key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와 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.
- 파이썬 딕셔너리가 hash table에 해당된다.
2. 용어
- 해쉬(hash) :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
- 해쉬 테이블(hash table):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
- 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: key에 대해 데이터 위치를 찾을 수 있는 함수
- 해쉬 값(hash value) 또는 해쉬 주소(hash address): key를 해싱 함수로 연산해, 해쉬 테이블에서 key에 대한 위치를 찾을 수 있음.
- 슬롯(slot):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
- 저장할 데이터에 대해 key를 추출할 수 있는 별도 함수 존재할 수 있음.
hash table 만들기
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10)])
hash_table
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
해쉬 함수
- 해쉬 함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으며, 가장 간단한 방식은 Division 법이다.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5 # 고정된 길이로 나옴
데이터 저장
data1 = 'Estus Flask'
data2 = 'Ashen Estus Flask'
data3 = 'Homeward Bone'
# ord(): 문자의 ASCII코드 리턴, 이것을 key로 이용하기 위함.
print(ord(data1[0]), ord(data2[0]), ord(data3[0]))
print(ord(data1[0]), hash_func(ord(data1[0])))
69 65 72
69 4
데이터 저장
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
key = ord(data[0])
hash_address = hash_func(key)
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
storage_data('Estus Flask', '5')
storage_data('Ashen Estus Flask', '3')
storage_data('Undead Bone Shard', '4')
def get_data(data):
key = ord(data[0])
hash_address = hash_func(key)
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
get_data('Estus Flask')
'5'
장단점과 주요 용도
- 장점
- 데이터 저장/읽기 속도 빠르다.
-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 (중복) 확인이 쉽다.
- 단점
- 저장공간이 많이 필요하다.
-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피하기 위한 별도의 자료 구조가 필요하다.
- 주요 용도
- 검색이 많이 필요할 때
- 저장, 삭제, 읽기를 자주 해야 할 때
- 캐시를 구현할 때
# hash(data) 잘 쓰지는 않음.
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
def get_key(data):
return hash(data)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8
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
hash_address = hash_func(get_key(data))
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
def read_data(data):
hash_address = hash_func(get_key(data))
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
storage_data('Ashen Estus Flask', '7')
storage_data('Braille Divine Tome of Carim', '1')
read_data('Ashen Estus Flask')
'7'
read_data('Braille Divine Tome of Carim')
'1'
hash_table
[0, 0, '1', '7', 0, 0, 0, 0]
충돌(Collision) 해결 알고리즘
해쉬 테이블의 가장 큰 문제는 충돌이다.
Chaining 기법
- 개방 해슁 또는 Open Hashing 기법 중 하나 : 충돌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추가적인 데이터 공간 (링크드 리스트)에 저장하는 것.
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
def get_key(data):
return hash(data)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8
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
index_key = get_key(data) # key값과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기 위함.
hash_address = hash_func(index_key)
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
for index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address])): # 리스트에 append 하기 위해서, 데이터가 몇개 들어가 있는지 확인
if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0] == index_key:
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1] = value
return
hash_table[hash_address].append([index_key, value])
else:
hash_table[hash_address] = [[index_key, value]]
def read_data(data):
index_key = get_key(data)
hash_address = hash_func(index_key)
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
for index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address])):
if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0] == index_key:
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1]
return None
else:
return None
print(hash_func(hash('Db')))
print(hash_func(hash('D')))
5
5
storage_data('Db', '1234')
storage_data('D', '4321')
read_data('Db')
'1234'
read_data('D')
'4321'
hash_table
[0,
0,
0,
0,
0,
[[1153917651641321117, '1234'], [-8357136605090786331, '4321']],
0,
0]
linear probing 기법
- 폐쇄 해슁 또는 Close Hashing 기법 중 하나 : 해쉬 테이블 안에 비어있는 공간에 저장
- 저장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
def get_key(data):
return hash(data)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8
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
index_key = get_key(data)
hash_address = hash_func(index_key)
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
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
if hash_table[index] == 0:
hash_table[index] = [index_key, value]
return
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 # 똑같은 키를 가졌을 때 데이터 업데이트
hash_table[index][1] = value
return
else:
hash_table[hash_address] = [index_key, value]
def read_data(data):
index_key = get_key(data)
hash_address = hash_func(index_key)
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
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
if hash_table[index] == 0:
return None
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
return hash_table[index][1]
else:
return None
빈번한 충돌을 피하는 법
- 해쉬 테이블의 저장공간을 2배로 늘려서 저장한다.
- hash_function도 저장 공간에 따라서 수정한다.
참고: 해쉬 함수와 키 생성 함수
- hash() 함수는 실행할 때마다 값이 달라질 수 있다.
- SHA(Secure Hash Algorithm) : 유일한 고정된 크기의 값을 리턴해주어 해쉬 함수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.
SHA-1
import hashlib
data = 'Estus Flask'.encode() # 바이트로 바꿔준다.
hash_object = hashlib.sha1()
hash_object.update(data) # or hash_object.update(b'test')
hex_dig = hash_object.hexdigest() #보통 16진수로 추출함
print(hex_dig)
9aa790a4258fe70a4f238d5d8cd829a8433dafd8
SHA-256
import hashlib
data = 'Estus Flask'.encode() # 바이트로 바꿔준다.
hash_object = hashlib.sha256()
hash_object.update(data) # or hash_object.update(b'test')
hex_dig = hash_object.hexdigest() #보통 16진수로 추출함
print(hex_dig)
fb90c3b4c383052303ae2af73cbac65b1446fdfd3c3ee570560be63c95f4ef3b
결과를 가지고 원래 값을 찾을 수 없다. SHA-256은 비트코인에서도 사용된다.
import hashlib
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
def get_key(data):
hash_object = hashlib.sha256()
hash_object.update(data.encode())
hex_dig = hash_object.hexdigest()
return int(hex_dig, 16)
def hash_func(key):
return key % 8
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
index_key = get_key(data)
hash_address = hash_func(index_key)
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
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
if hash_table[index] == 0:
hash_table[index] = [index_key, value]
return
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 # 똑같은 키를 가졌을 때 데이터 업데이트
hash_table[index][1] = value
return
else:
hash_table[hash_address] = [index_key, value]
def read_data(data):
index_key = get_key(data)
hash_address = hash_func(index_key)
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
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
if hash_table[index] == 0:
return None
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
return hash_table[index][1]
else:
return None
시간 복잡도
- 일반적인 경우 (충돌이 없는 경우): O(1)
- 최악의 경우(충돌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): O(n)
'파이썬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[자료구조] 힙 (Heap) (0) | 2020.04.25 |
---|---|
[파이썬][자료구조] 트리 (Tree) (0) | 2020.04.23 |
[파이썬][자료구조] 시간 복잡도 (0) | 2020.04.16 |
[파이썬][자료구조] 링크드 리스트 (Linked List) (0) | 2020.04.15 |
[파이썬][자료구조] 스택 (Stack) (0) | 2020.04.15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