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기초
- 알고리즘
- type 함수
- 트리
- 동적 계획
- 문법
- 이진 탐색
- 자기개발
- 백준
- sys.stdin.readline()
- 그래프
- git hub
- 우분투
- 파이썬
- IT
- NQueen
- format 메서드
- 순차 탐색
- 스택
- 그리디
- Git
- 배열
- 재귀 함수
- 자료구조
- 유닉스
- 탐색
- UNIX
- MiniHeap
- 분할 정복
- 정렬
Archives
- Today
- Total
코딩고치
[파이썬][알고리즘] 최소 신장 트리 본문
최소 신장 트리
신장 트리
- 그래프의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트리의 속성을 가지는 그래프.
- 조건
- 모든 노드가 연결
- 트리의 속성 (사이클을 가지지 않음)
최소 신장 트리
- Minimum Spanning Tree (MST)
- 신장 트리 중에서 간선의 가중치의 합이 가장 작은 신장 트리
크루스칼 알고리즘
- 모든 노드를 독립적인 집합으로 만듦
- 간선을 최소 가중치를 가진 순서대로 정렬
- 이 노드 순서대로 노드를 연결
- 사이클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
- 사이클이 생기면 제외를 한 후 다음 가중치를 가지는 간선을 이용하여 노드 연결
- Union-Find 알고리즘 이용
- 참고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81%AC%EB%9F%AC%EC%8A%A4%EC%BB%AC_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
Union-Find 알고리즘
- 사이클이 생기는지 안 생기는지 확인하는 알고리즘
- 연결된 노드를 찾거나 노드들을 연결할 때 사용
- Disjoint Set
- 전체를 하나의 집합으로 보고 그 안의 부분 집합들을 만들어 공통된 원소가 없도록 연결
- 초기화
- n개의 원소를 개별 집합으로 만듦
- Union
- 두 개별 집합을 하나로 합침 (두 트리를 하나로 만듦)
- Find
- 두 개의 노드가 있을 때 같은 부분 집합 안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별
- 각 집합의 루트 노드가 같은지 다른지를 확인
- 초기화
- 전체를 하나의 집합으로 보고 그 안의 부분 집합들을 만들어 공통된 원소가 없도록 연결
Union-Find 알고리즘의 주의사항
- 잘못 구현하면 링크드 리스트와 같은 형태가 됨
- union by rank와 path compression을 이용하여 최적화
Union-by-rank
- 각 트리에 대해 높이 (rank)를 기억
- 두 트리의 높이가 다르면 높이가 작은 트리를 큰 트리에 붙임 ( 높이가 큰 트리의 루트 노드가 합친 집합의 루트 노드가 되도록 함)
- 높이가 같은 경우 한쪽의 트리를 1 증가시키고 다른 쪽의 트리를 해당 트리에 연결
- 높이 h인 트리를 만들려면 높이 h - 1인 트리 2개를 연결해야 함
- 높이 h - 1인 트리를 만들 때 n개의 원소가 있어야 한다면 높이 h인 트리를 만들려면 최소 2n개가 있어야 함
- 연산 복잡도는 O(N)이 아닌 O(logN)으로 낮출 수 있음
path compression
- Find를 실행한 노드에서 거쳐간 노드를 루트 노드에 전부 연결
- Union-by-rank와 path compression을 이용하면 시간 복잡도는 O(Mlog*N)
- O(1)
크루스칼 알고리즘 코드
graph = {
# 노드를 리스트로
'vertices': ['A', 'B', 'C', 'D', 'E', 'F', 'G'],
# 간선을 리스트로 (weight, 각 끝점)
'edges': [
(7, 'A', 'B'),
(5, 'A', 'D'),
(7, 'B', 'A'),
(9, 'B', 'D'),
(8, 'B', 'C'),
(7, 'B', 'E'),
(8, 'C', 'B'),
(5, 'C', 'E'),
(5, 'D', 'A'),
(9, 'D', 'B'),
(15, 'D', 'E'),
(6, 'D', 'F'),
(7, 'E', 'B'),
(5, 'E', 'C'),
(15, 'E', 'D'),
(8, 'E', 'F'),
(9, 'E', 'G'),
(6, 'F', 'D'),
(8, 'F', 'E'),
(11, 'F', 'G'),
(9, 'G', 'E'),
(11, 'G', 'F')
]
}
# 부모 노드 값 저장
parent = dict()
# 각각의 노드의 높이 번호
rank = dict()
def initialization(node):
parent[node] = node
rank[node] = 0
def find(node):
# path compression
if parent[node] != node:
parent[node] = find(parent[node])
return parent[node]
def union(node_a, node_b):
# union-by-rank
root_a = find(node_a)
root_b = find(node_b)
if rank[root_a] > rank[root_b]:
parent[root_b] = root_a
else:
parent[root_a] = root_b
if rank[root_a] == rank[root_b]:
rank[root_b] += 1
def kruskal(graph):
mst = []
# 초기화
for node in graph['vertices']:
initialization(node)
# 간선을 오름차순으로 정렬
edges = graph['edges']
edges.sort()
# 사이클 확인 후 연결
for edge in edges:
weight, node_a, node_b = edge
if find(node_a) != find(node_b):
union(node_a, node_b)
mst.append(edge)
return mst
kruskal(graph)
[(5, 'A', 'D'),
(5, 'C', 'E'),
(6, 'D', 'F'),
(7, 'A', 'B'),
(7, 'B', 'E'),
(9, 'E', 'G')]
시간 복잡도
- O(ElogE)
- 초기화하는 과정 O(V)
- sort 하는 과정 O(ElogE)
- 간선 확인
- O(E) + O(1) -> O(E)
프림 알고리즘
- 시작 정점을 선택 후 최소 간선으로 연결된 노드를 연결하고 이 노드에서 다시 최소 간선으로 연결된 노드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확장
- 크루스칼 알고리즘과의 차이
- 크루스칼 알고리즘: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간선에서 시작
- 특정 노드에서 시작, 해당 노드에서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간선을 통해 노드를 연결해 나감
- 참고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4%84%EB%A6%BC_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
프림 알고리즘 로직
- 임의의 노드를 선택 후 연결된 노드 집합에 입력
- 선택된 정점에 연결된 간선을 리스트로 만듦
- 간선 리스트에서 가장 작은 가중치를 가진 간선부터 선택
- 이 간선에 연결된 노드가 연결된 노드 집합에 있으면 스킵 (Cycle 방지)
- 연결된 노드 집합에 없으면 해당 간선을 선택 후 최소 신장 트리에 정보 입력
- 추출한 간선은 리스트에서 제거
- 간선 리스트에 간선이 없을 때까지 반복
프림 알고리즘 코드 구현
참고: collections 라이브러리의 defaultdict
- key에 대한 값을 지정하지 않았을 때 빈 리스트로 초기화함
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
list_dict = defaultdict(list)
print(list_dict['key1'])
list_dict2 = dict()
print(list_dict2['key1'])
[]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KeyError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
<ipython-input-7-e03bfe85bbf3> in <module>
5
6 list_dict2 = dict()
----> 7 print(list_dict2['key1'])
KeyError: 'key1'
edges = [
(7, 'A', 'B'), (5, 'A', 'D'),
(8, 'B', 'C'), (9, 'B', 'D'), (7, 'B', 'E'),
(5, 'C', 'E'),
(15, 'D', 'E'), (6, 'D', 'F'),
(8, 'E', 'F'), (9, 'E', 'G'),
(11, 'F', 'G')
]
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
from heapq import *
def prim(first_node, edges):
mst = []
# 해당 노드에 해당 간선을 추가
adjacent_edges = defaultdict(list)
for weight, node1, node2 in edges:
adjacent_edges[node1].append((weight, node1, node2))
adjacent_edges[node2].append((weight, node2, node1))
# 처음 선택한 노드를 연결된 노드 집합에 삽입
connected = set(first_node)
# 선탠된 노드에 연결된 간선을 간선 리스트에 삽입
candidated_edge = adjacent_edges[first_node]
# 오름 차순으로 정렬
heapify(candidated_edge)
while candidated_edge:
weight, node1, node2 = heappop(candidated_edge)
# 사이클 있는지 확인 후 연결
if node2 not in connected:
connected.add(node2)
mst.append((weight, node1, node2))
for edge in adjacent_edges[node2]:
if edge[2] not in connected:
heappush(candidated_edge, edge)
return mst
prim('A', edges)
[(5, 'A', 'D'),
(6, 'D', 'F'),
(7, 'A', 'B'),
(7, 'B', 'E'),
(5, 'E', 'C'),
(9, 'E', 'G')]
시간 복잡도
- 최악의 경우 while 구문에서 모든 간선에 대하여 반복
- 최소 힙 구조 사용 -> O(ElogE)
개선된 프림 알고리즘
- 간선이 아닌 노드를 중심으로 우선순위 큐를 만들어 풀어 나감
- 초기화
- 선택한 [노드:key] 구조를 만든 후 key값을 0으로 입력한 후 나머지 노드의 key값은 무한대로 설정
- 모든 [노드:key] 값을 큐에 넣음
- 가장 key값이 적은 [노드:key]를 pop으로 추출
- 해당 노드의 인접한 노드들에서 key값과 가중치의 값을 비교하여 가중치 값이 작으면 해당 key값을 가중치 값으로 업데이트
- 업데이트 후 우선순위 큐에서 key값이 가장 작은 노드를 루트 노드로 올라오도록 해야 함
- heapdict 라이브러리 이용
- 초기화
from heapdict import heapdict
def prim(graph, first):
mst = []
keys = heapdict()
previous = dict()
total_weight = 0
#초기화
for node in graph.keys():
keys[node] = float('inf')
previous[node] = None
keys[first], previous[first] = 0, first
while keys:
current_node, current_key = keys.popitem()
mst.append([previous[current_node], current_node, current_key])
total_weight += current_key
for adjacent, weight in graph[current_node].items():
if adjacent in keys and weight < keys[adjacent]:
keys[adjacent] = weight
previous[adjacent] = current_node
return mst, total_weight
graph = {
'A': {'B': 7, 'D': 5},
'B': {'A': 7, 'D': 9, 'C': 8, 'E': 7},
'C': {'B': 8, 'E': 5},
'D': {'A': 5, 'B': 9, 'E': 15, 'F': 6},
'E': {'B': 7, 'C': 5, 'F': 8, 'G': 9},
'F': {'D': 6, 'E': 8, 'G': 11},
'G': {'E': 9, 'F': 11}
}
mst, total_weight = prim(graph, 'A')
print(mst)
print(total_weight)
[['A', 'A', 0], ['A', 'D', 5], ['D', 'F', 6], ['A', 'B', 7], ['B', 'E', 7], ['E', 'C', 5], ['E', 'G', 9]]
39
개선된 프림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
-
최초 key 생성: O(V)
-
while 구문: O(VlogV)
- while문: O(V)
- heap에서 keys.poptiem() 실행: O(logV)
-
for문: O(ElogV)
- for문은 총 간선 수만큼 실행: O(E)
- key값을 업데이트할 때마다 heap구조 변경: O(logV)
-
총 시간 복잡도: O(V + VlogV + ElogV)
-
E > V 이므로 시간 복잡도는 O(ElogV)
'파이썬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[알고리즘] 백트래킹 (0) | 2020.05.21 |
---|---|
[파이썬][알고리즘] 최단 경로 알고리즘 (0) | 2020.05.13 |
[파이썬][알고리즘] 탐욕 알고리즘 (0) | 2020.05.08 |
[파이썬][알고리즘] 너비 우선 탐색과 깊이 우선 탐색 (0) | 2020.05.07 |
[파이썬][알고리즘] 그래프 (0) | 2020.05.07 |
Comments